기능개발 function development

💡
Level 2 210919

문제 설명

프로그래머스 팀에서는 기능 개선 작업을 수행 중입니다. 각 기능은 진도가 100%일 때 서비스에 반영할 수 있습니다.
또, 각 기능의 개발속도는 모두 다르기 때문에 뒤에 있는 기능이 앞에 있는 기능보다 먼저 개발될 수 있고, 이때 뒤에 있는 기능은 앞에 있는 기능이 배포될 때 함께 배포됩니다.
먼저 배포되어야 하는 순서대로 작업의 진도가 적힌 정수 배열 progresses와 각 작업의 개발 속도가 적힌 정수 배열 speeds가 주어질 때 각 배포마다 몇 개의 기능이 배포되는지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세요.

제한 사항

  • 작업의 개수(progresses, speeds배열의 길이)는 100개 이하입니다.
  • 작업 진도는 100 미만의 자연수입니다.
  • 작업 속도는 100 이하의 자연수입니다.
  • 배포는 하루에 한 번만 할 수 있으며, 하루의 끝에 이루어진다고 가정합니다. 예를 들어 진도율이 95%인 작업의 개발 속도가 하루에 4%라면 배포는 2일 뒤에 이루어집니다.

입출력 예

progresses
speeds
return
[1, 30, 5]
[2, 1]
[1, 1, 1, 1, 1, 1]
[1, 3, 2]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첫 번째 기능은 93% 완료되어 있고 하루에 1%씩 작업이 가능하므로 7일간 작업 후 배포가 가능합니다.두 번째 기능은 30%가 완료되어 있고 하루에 30%씩 작업이 가능하므로 3일간 작업 후 배포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전 첫 번째 기능이 아직 완성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첫 번째 기능이 배포되는 7일째 배포됩니다.세 번째 기능은 55%가 완료되어 있고 하루에 5%씩 작업이 가능하므로 9일간 작업 후 배포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7일째에 2개의 기능, 9일째에 1개의 기능이 배포됩니다.
입출력 예 #2 모든 기능이 하루에 1%씩 작업이 가능하므로, 작업이 끝나기까지 남은 일수는 각각 5일, 10일, 1일, 1일, 20일, 1일입니다. 어떤 기능이 먼저 완성되었더라도 앞에 있는 모든 기능이 완성되지 않으면 배포가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5일째에 1개의 기능, 10일째에 3개의 기능, 20일째에 2개의 기능이 배포됩니다.
 

My solution


첫 번째 입출력 예에 작업진도 배열과 작업 속도 배열을 이용해 각 작업에 필요한 시간을 계산한 다음 배열로 만든다면 [ 7, 3, 7 ]이 된다.

이처럼 각 작업에 대해 필요한 시간이 얼마인지에 대한 배열을 먼저 생성한다.
 
이 배열을 순회하면서 선택한 원소(시간)의 뒤에 그 원소보다 적은 원소(시간)이 존재하면 그 작업이 배포될 때 함께 배포되어야 한다.
 
먼저 기준값이 될 원소를 배열에서 디큐(맨앞에서 꺼냄)해준다.
그다음 기준값보다 작업 시간이 적은 원소가 존재할 때마다 해당 원소를 디큐해서 제거해준다음 count에 값을 누적해준다. 더이상 존재하지 않을 때까지 반복한다.
더이상 존재하지 않아 while문을 탈출하면 이때까지 누적된 count값은 배열 push한다.
아직 작업 시간에 대한 배열이 비어있지 않다면 배열의 원소가 없어질 때까지 위의 로직을 반복한다.
function solution(progresses, speeds) {
    let answer = [];
    let counts = [];
    // 시간 측정 - 각 기능이 며칠 걸리는지
    for (let i = 0; i < progresses.length; i++) {
        let prg = progresses[i];
        let time = 0;
        while (1) {
            if (prg >= 100) break;
            prg += speeds[i];
            time++;
        }
        answer[i] = time;
    }

    // 값 확인 - 기준값을 잡고 그 다음값을 비교하면서 더 작은 값이 존재할 때 count를 더해준다. 없으면 break;
    while (answer.length) {
        let org = answer.shift();
        let count = 1;
        if (org < 0) continue;
        while (1) {
            if (org >= answer[0]) {
                answer.shift();
                count++;
            }
            // 기준값보다 긴 값이 나타나면 그 뒤로는 확인할 필요가 없음
            else break;
        }
        counts.push(count);
        console.log(counts);
    }
    return (answer = counts);
}

test("solution", () => {
    expect(solution([93, 30, 55], [1, 30, 5])).toStrictEqual([2, 1]);
    expect(
        solution([95, 90, 99, 99, 80, 99], [1, 1, 1, 1, 1, 1])
    ).toStrictEqual([1, 3, 2]);
});
notion image
 

Another solution


function solution(progresses, speeds) {
    let answer = [0];
    let days = progresses.map((progress, index) =>
        Math.ceil((100 - progress) / speeds[index])
    );
    let maxDay = days[0];

    for (let i = 0, j = 0; i < days.length; i++) {
        if (days[i] <= maxDay) {
            answer[j] += 1;
        } else {
            maxDay = days[i];
            answer[++j] = 1;
        }
        console.log(i, j, answer);
    }

    return answer;
}
다른 사람의 풀이를 보니 days라는 작업시간 배열을 만드는 데 가독성이 더 좋은 map과 Math.ceil, 나눗셈을 이용하는 방식이 있었고 더 가독성이 좋다고 생각했다.
기준값과 기준값보다 작은 값인 경우 값을 누적해가는 로직에서도 for문 하나로 처리하는 방식을 사용했는데, 내 풀이는 시간복잡도 O(n^2)이면 이 방식은 O(n)으로 더 나은 성능이라 생각되었다.
 
for문을 보면 let i =0, j= 0;을 보면 i, j 변수 2개로 선언한 것을 볼 수 있다.
i의 값은 days를 순회하기 위해 1씩 순차적으로 증가시켜주면서 기준값보다 커지는 조건이 부합되면 기준값(maxDay)을 해당 값으로 변경시켜주었다. 다음 배포일로 넘어갔으므로 answer 배열의 인덱스(j)도 증가시킨다.
이동한 answer의 인덱스(j)의 위치에 1을 넣어주는 것은 그다음 반복에서 i++되므로 days[i]의 위치가 기준값의 다음 위치이기 때문이다.(기준값에 대한 작업개수 1을 넣어준 것이다.)